가설용 Lift
1. Lift 설치 개요
가설용 Lift는 고층 건축현장에서 자재 및 인원의 수직 운반을 위한 핵심 장비이다. 특히 공정이 집중되는 골조 및 마감 시기에 양중 효율성을 확보하고, 현장 내 인력 이동 동선과 자재 흐름의 분리를 통해 안전하고 체계적인 시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2. Lift 조립 순서 및 설치 절차
Lift는 다음 순서에 따라 설치된다:
① 기초 시공 → ② 기본장치 및 방호울 설치 → ③ 운반구 + 마스트 조립 → ④ 벽체 지지대 고정 → ⑤ 케이블 가이드 설치
▸ 기초 시공
Lift 시방서 기준에 따른 기초판 크기 확보
기초 프레임은 4개 이상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수평도 확보
구조물 상부 설치 시 구조보강 필수
경사로 필요 시 손수레 이용 고려
3. 마스트(Mast) 설치 기준
- 이음부 볼트 및 너트는 고장력강 사용, 볼트머리는 아래로 향하게 설치
- 풀림 방지를 위해 더블 너트, 와셔, 핀 등 추가 조치
- 수평도 허용오차: ±8도 이내
- 지지간격 : 기초부터 6m 이내 1개소, 최상부 1개소, 중간 지점마다 18m 간격으로 벽체 고정
4. 운반구(Cage) 및 방호울 설치
- 승강장과 Cage 사이 이격거리는 6cm 이내 (초과 시 발판 보강)
- 하강 시 경보음 작동, 최대적재 하중 및 안전 수칙 표시
- Cage 하부에는 방진재 부착으로 소음 및 진동 저감
- 방호울 높이는 1.8m 이상, 강관 또는 기성제품 활용
- 출입제한, 추락주의, 작동경고 등의 안전표지판 필수 부착
5. Lift 설계 및 시공 시 유의사항
- Cage 크기는 운반 자재의 최대 Size 기준 선정
- 바람이 강한 지역은 Mast Trolley 방식 우선 적용
- 고층 건물(30층 이상)은 인버터 제어 방식이 장비에 무리를 줄이므로 권장
- 구조체 위에 설치할 경우 반드시 구조안전성 검토
- 기초·슬래브·지지대 보강 계획과 Lift 해체 시 처리 방안 포함
Lift 대수 산정 기준
1. 산정 원칙
▸ 기준 항목
건물 바닥면적 | 전체 연면적 또는 층당 평균 면적 |
양중 빈도(횟수) | 일반적으로 0.2~0.4회/㎡/일 기준 적용 |
시공 기간 | 총 공기(공정 기간) 또는 Lift 설치 기간 |
Lift 1대당 양중 가능 횟수 | 장비별 1일 운행 가능 횟수 계산 |
Peak 부하율 | 보통 1.3 ~ 1.8 적용 (일 최대 수요 고려) |
2. 자재 양중 기준 산정식
▸ 기본 산식
▸ 예시 계산
- 건물 바닥면적: 30,000㎡
- 기준 양중 횟수: 0.3회/㎡
- 시공일수: 120일
총 양중 횟수 = 30,000 × 0.3 = 9,000회
1일 평균 = 9,000 ÷ 120 = 75회/일
3. Lift 종류별 1일 양중 가능 횟수
화물용 Lift | 8.5시간 (510분) | 10분/회 | 51회/일 |
인·화물용 Lift | 4시간 (240분) | 10분/회 | 24회/일 |
※ 소요시간 산정:
T = 적재 + 상승 + 하역 + 하강 = 3 + 2 + 3 + 2 = 10분
4. Peak 부하 고려
Peak 부하는 보통 1.3 ~ 1.8배 수준으로 계산합니다.
예시: 75회/일 × 1.5(Peak율) = 112.5회/일
Peak 수요에 따라 Lift 대수를 늘리거나, 잔업시간/야간시간 활용으로 보완 가능
5. 인원 수송 기준
▸ 수송 소요시간 공식
- M: 총 수송 인원
- m: Lift 1회 정원
- n: 정지 층수
- H: 최대 양정
- V: 승강 속도
- T: 총 소요 시간
예: M = 300명, m = 30명, n = 10개 층, H = 80m, V = 40m/min → T ≤ 60분 이내 수송 가능해야 함
※ 아침, 점심, 퇴근시간에는 자재 Lift도 인원수송에 병행 사용
6. Lift 대수 산정 정리
바닥면적 | 30,000㎡ |
기준 양중횟수 | 0.3회/㎡ |
총 양중수 | 9,000회 |
화물용 Lift | 1대당 51회/일 |
인·화물 Lift | 1대당 24회/일 |
필요 대수 | 각 1대씩으로 기본충족 가능 (Peak 시 추가 고려) |
결론
- 공정별 집중도(철근콘크리트, 마감, 커튼월 등)에 따라 설치 시점 달리기
- 1대당 실질 수송효율은 환경(바람, 탑재율, 대기시간)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유 적용 필요
- 고층일수록 양중 거리 증가 → 속도 빠른 Lift or 다기층 정지 필요
- Lift는 단순히 설치 수량이 아니라, 운행 계획과 병행하여 수립해야 함
Lift 종류 및 동력선 운송방식
1. 주요 Lift 종류
1) 용도에 따른 분류
화물전용 Lift 자재 및 장비만을 운반하는 목적. 인승 금지. 운반 효율 우수.
인·화물 겸용 Lift 자재와 작업자 모두 탑승 가능. 안전장치 강화 필요.
작업자 이동이 많은 고층건축물에 적합.
인승전용 Lift 임시 승강기로 설치. 인원 전용, 주로 마감공정 중 사용. (실제 건물 엘리베이터 설치 전 단계)
2) 탑재 구조(형상)에 따른 분류
Rack & Pinion 타입 Mast에 설치된 랙기어를 Pinion 모터로 구동.
고장 시 정밀제어 유지가 쉬우며, 고속 운행 가능.
로프(와이어) 타입 로프 드럼 및 와이어 시스템으로 권상.
중소형 Lift에 적합하며 구조 간단. 드럼방식 또는 권상기 사용.
Hydraulic 타입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저층용 리프트. 일반적으로 건설 Lift보다는 상업용 현장에 사용.
3) 설치 방식에 따른 분류
Mast Climbing Lift : 수직 마스트를 따라 승강.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되며, 자재 및 작업자 운반에 모두 활용 가능.
Floor Climbing Lift : 건물 슬래브에 고정, 자체적으로 상승하며 층별 설치 가능, 주로 내화구조 내부에서 사용.
벽체 고정형 : 벽면 브래킷으로 지지하며 고정. 고정력 및 진동 최소화 필요, 일반적인 외부 Lift 형태.
자립형 Lift : 별도 고정 구조 없이 낮은 층수에서만 사용 가능한 독립형, 6~10m 이하 저층공사에 활용됨.
2. Lift 선정 시 고려사항
- 자재 최대 크기 및 중량
- 양중 빈도 및 작업인원 수
- 설치 구조물(건물 내부/외부)과의 간섭 여부
- 현장 풍속, 지형조건
- Lift 대수 및 Peak 시간대 대응 시뮬레이션
- 케이블 방식 (Drum vs. Trolley)
3. 케이블 운송방식
1) Drum 방식
- 1층에 설치된 Drum에서 케이블이 풀렸다 감기는 방식
- 풍압에 민감, 바람 많은 지역에 부적합
- Cage 바닥과 지상면 레벨차 약 30cm
2) Trolley 방식 (권장)
- Cage의 움직임을 따라 케이블 Trolley가 함께 이동
- Trolley는 Mast 또는 Wire Rope를 레일로 활용
- Mast Trolley: 구조 강성 우수, 바람에 강함
- Wire Rope Trolley: 설치는 간편하나 바람에 취약
- 레벨차 60~90cm 발생, Ramp 설치 또는 B1까지 운행 필요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비계] 이동식 비계, 강관틀비계, 시스템 비계 (0) | 2025.06.25 |
---|---|
[가설공사] 가설 강관비계 (1) | 2025.06.25 |
[가설양중장비]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0) | 2025.06.25 |
[가설공사] 복공구조물 (1) | 2025.06.25 |
[가설공사] 가설 세륜시설 및 가설 울타리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