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참고자료 21

제 106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 합격률 및 총평 (2015.05.10 시행)

제106회 기출문제 2015년 05월 10일에 시행되었던 106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 공유합니다. 제1교시 (시험시간 :100분)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10점) 1. 주동토압, 수동토압, 정지토압 2. 철골 예열온도 (Preheat) 3. 고력볼트 현장반입검사 4. 현장타설 말뚝의 건전도 시험 5. 표준시장단가제도 6. 시멘트 수화반응의 단계별 특정 7. 콘크리트의 크리프 (Creep) 8. 흙의 압밀( Consolidation) 9. 박스컬럼 (Box Column) 현장용접 순서 10. 압력식 Soil Nailing 11. 말뚝의 부마찰력 (Negative Friction) 12. 안전관리의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 13. 고..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장수명주택 건설 및 인증기준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1. 개요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은 새로 건설되는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등으로 인한 건강상의 불편을 겪지 않도록, 설계부터 시공, 입주 단계에 이르기까지 실내 환경의 공기질, 환기 성능, 자재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개선하기 위한 제도입니다.이 기준은 일정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적용되며, 특히 실내 마감재의 오염물질 방출을 줄이고, 고성능 환기설비 및 시공관리 기준을 엄격히 적용함으로써 거주자의 건강보호 및 주거만족도 향상을 도모합니다. 2. 적용대상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은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의 신축 또는 리모델링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적용해야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범죄예방 환경설계 인증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Barrier Free, BF 인증) 1) 목적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접근·이용·이동의 편의성을 보장하여 차별 없는 생활환경을 구축하고, 도시 및 건축물 설계 단계에서부터 무장애 설계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2) 근거 법령「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 3) 주요 특성공공건축물은 의무적 적용 (대통령령 대상)민간시설은 자율 신청 가능예비인증(설계단계)과 본인증(사용승인 후) 이원화인증 등급별(일반~최우수)로 인센티브 및 홍보 효과 기대 구분주요내용목적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위한 접근·이용·이동이 편리한 환경 조성법적근거「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제10조의2의무대상국가·지자체가 신..

[일반사항]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1. 제도 개요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은 에너지효율이 우수하고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건축물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주택의 총 에너지 사용량 또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건축허가(사업승인) 단계에서 사전에 검토함으로써, 에너지절약형 건축을 유도하기 위한 법적 제도입니다. 해당 기준은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주택법에 근거하여 공동주택 건설 시 의무적으로 적용되며, 주거환경 개선 및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가적 에너지정책의 일환입니다. 2. 적용 대상 및 평가 기준 1) 적용 대상-「주택법 시행령」 제27조 제2항에 따라- 총 3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경우 사업승인 또는 건축허가 단계에서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을 적용받아야 합니다.세대 수 산..

[일반사항] 석면 폐기물 관리

석면폐기물 관리 1. 석면 해체·제거 작업의 사전허가 및 금지사항 1) 관련 법령 및 규정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의2(석면조사), 제38조의3(작업기준), 제38조의5(신고 및 확인)「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80조의7「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절(석면작업의 안전기준) 2) 석면조사 대상(사전조사 필수 조건) 건축물 또는 특정 구조물 해체·철거 공사를 시행하기 전, 해당 구조물에 석면이 존재하는지를 사전조사해야 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축물의 연면적이 50㎡ 이상이면서, 그 중 철거·해체 대상 면적이 50㎡ 이상인 경우주택의 연면적이 200㎡ 이상이고, 그 중 철거·해체 면적이 200㎡ 이상일 경우단열재·보온재·내화피복재·개스킷·패킹재·실링재 등 석면이 사용된 면적 합계가 15㎡ 이..

[일반사항] 폐기물 관리 및 토양오염 관리

폐기물 관리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1. 건설폐기물처리계획서 신고 1) 관련 법령「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18조「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17조 2) 신고 대상 및 범위해당 공사에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의 총량이 5톤 이상일 경우폐기물 종류는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금속, 폐벽돌, 폐블록, 폐유리, 폐목재, 건설오니, 폐합성수지, 폐보드류, 혼합폐기물 등 3) 신고 주체 및 절차발주자가 직접 처리계획서를 신고해야 하나, 국가계약법이 적용되는 100톤 이상 발생하는 현장의 경우 발주자가, 일반 공사는 원도급자가 신고신고 시기는 반드시 착공 전에 완료해야 하며신고는 관할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제출접수된 신고서는 3일 이내 처리됨 4) 변경신고 요..

[일반사항] 환경영향평가, 비산먼지 및 소음 진동 관리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 관련 법령 및 고시 「환경영향평가법」 제22조, 제42조동법 시행령 제31조, 제46조 및 시행령 별표 3환경부 고시 제2016-131호 (2016.7.8.) 「환경영향평가서 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 이 법령은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자연환경, 생활환경, 사회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예측·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저감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2. 환경영향평가 대상 사업 범위 「환경영향평가법 시행령」 별표 3 및 각 지자체 조례에서 정한 범위의 사업에 해당하는 경우 평가 대상입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도시개발사업 및 산업단지 조성사업도로, 철도(도시철도 포함), ..

[일반사항] 건설현장 안전점검 및 안전교육, Smart 안전관리

건설공사 안전점검 1. 안전점검 개요 근거 법령: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및 시행규칙 제30조~30조의2건설공사 현장은 본질적으로 많은 위험 요소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안전점검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각 점검자는 역할에 따라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현장을 순회하며 점검을 수행해야 한다. (1) 일상점검 체계 점검자: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일일 안전당번 등주기: 매일 1회 이상 또는 2일에 1회 이상기록: 현장 내 안전일지 및 Check-list 작성, 보관내용: 작업장 내 위험 요소 및 재해 유발 요인 확인, 즉시 조치 여부 기재설명: 일상점검은 모든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기본적인 절차로..

[일반사항]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운영방안

유해위험방지계획서 1. 개요 및 목적 건설현장은 타 업종에 비해 사고 위험도가 높은 작업환경을 수반하며, 특히 대형 구조물 시공, 지하굴착, 고소작업, 고위험 장비 운영 등의 경우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관계 법령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공사를 대상으로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계획 수립과 심사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유해위험방지계획서와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는 모두 공사 착공 전 작성·제출되어야 하며, 발주자 및 감독기관, 또는 관련 공단의 사전 심사 및 적정 판정을 통해 시공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목적입니다. 2.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 사항 ① 법적 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 - 동법 시행령 제33..

[일반사항] 품질관리계획 및 부실벌점 관리

품질관리계획 1. 관계 법령 및 개요 건설공사 품질관리는 「건설기술진흥법」 제55조 및 동법 시행령 제89조, 그리고 국토교통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관리 지침」에 의거하여 시행되며, 공사의 규모·유형에 따라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발주자 승인을 통해 실행에 옮기는 체계적인 절차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단순 문서 작성이 아닌, 전 공정에서의 품질 확보를 위한 법정 의무사항으로서, 감리 및 발주자의 지속적인 검토와 확인을 거쳐야 하며, 시공 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 수단입니다. --- 2. 품질관리계획 적용 대상 다음 기준 중 하나 이상 해당되는 건설공사는 반드시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합니다. 1) 공사비 : 총공사비 500억 원 이상, 건설사업관리 대상2) 연면적 : 다중이용건축물..